도시가스만 절약해도 현금을 주는 복지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입니다. 더욱이나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3월 31일 신청이 마감되는 정부지원제도인데, 마지막날 신청해도 전년대비 절약을 했다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미리 결과를 알고 신청할 뿐 아니라 도시가스를 절약하여 사용한 가정에 현금으로 캐시백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오늘은 도시가스 캐시백 하는 방법에 대하여 신청방법에 대하여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가스 사용량이 전년동일기간보다 3% 이상 적으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 오늘 바로 신청하세요.
1.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방법
1) 홈페이지 방문 혹은 가스앱 설치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하여 회원가입을 하면 캐시백 신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 회원가입 하세요.
가스앱 설치 바로가기(갤럭시) 가스앱 설치 바로가기(아이폰)
2) 회원가입
개인회원 단체회원을 선택합니다.
3) 약관동의
- 홈페이지 이용약관(필수동의)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필수동의)
- 수집한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및 취급 위탁동의 (필수동의)
-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 처리 동의(필수동의)
4) 본인인증
휴대폰 본인인증
4)회원정보 입력
- 아이디 | 비밀번호 | 전화번호 등 입력
- 도사가스 고객정보 및 가입자 정보 확인
- 계좌정보: 입금계좌정보 입력
4) 회원가입완료
2. 지급방식 및 산정예시
1) 캐시백 지급방식:
- 절감기간 동안 비교기간과 비교하여 절감 성공 시 신청자의 계좌로 현금이 지급되는 방식입니다.
2) 캐시백 지급기준:
작년대비 캐시백 지급금액이 2배 이상 인상되었습니다.
구분 | 3% 이상 10% 미만 | 10% 이상 20% 미만 | 20%이상 30%미만 |
캐시백 지급단가 | 50원/㎥ | 100원/㎥ | 200원/㎥ |
- 3~10% 절약: 1㎥당 50원 지급
- 10~20% 절약: 1㎥당 100원 지급
- 20~30% 절약: 1㎥당200원 지급
3) 캐시백 산정예시:
전년도 동절기 사용량과 올해 동절기 사용량을 비교하여 얼마나 절감되었는지 비교합니다.
비교기간 | 2022년 12월 | 2023년 1월 | 2023년 2월 | 2023년 3월 | 합계 |
사용량(㎥) | 120 | 120 | 120 | 120 | 480 |
절감기간 | 2023년 12월 | 2024년 1월 | 2024년 2월 | 2024년 3월 | 합계 |
사용량 (㎥) | 100 | 100 | 110 | 90 | 400 |
- 비교기간 사용랑: 480㎥
- 절감기간 사용량: 400㎥
- 절감량: 80㎥
- 절감률: 80/480 = 16.6%
- 캐시백 금액: 60㎥ x 100원 = 6,000원
위와 같이 절감했을때 7~8월경에 현금으로 6천 원이 지급됩니다.
3. 유의사항
회원가입전 아래와 같은 유의사항이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 캐시백 금액이 125,000원을 초과하는 경우 소득세법에 따라 지급액의 8.8%(지방소득세 포함)를 공제 후 지급됩니다.
-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캐시백 지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전출·전입, 명의변경 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전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 주택난방용 이외에 타용도 요금제(산업용, 업무난방요 등) 사용자
- 신청자(회원가입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미제출한 사용자
-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오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중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
- 기타 사유로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 자가검침, 인정고지 등으로 인해 추후 정산결과 가스 사용량 -값 발생 시 0으로 대체됩니다.
신청기간은 2024년 3월 31일까지입니다. 마지막날 사용량을 확인하여도 가입이 가능하니 잊지 마시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회원가입하여 혜택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