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토교통부는 2024년 7월 시행예정이었던 'K-패스'의 적용을 대중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하여 2024년 5월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 늘어나는 물가와 교통비 때문에 서민 경제가 많이 안 좋아지고 있는 이때에 대중교통비를 약 20~53% 정도 절약할 수 있는 K-패스 혜택과 신청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

 

K-패스란 무엇인가?

 

2024년 5월부터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K-패스는 전국 지하철과 시내버스, 광역버스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에게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이용금액에 따라 다음달에 직접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즉,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 이용했을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20~53%)을 적립하여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대중교통비 지원 제도입니다. K-패스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의 불편을 개선하고 혜택을 더 많이 확대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으로서 기후동행카드 나 동백패스등 서울시등 특정지역에만 적용되는 것과는 다르게 전국단위로 적용됩니다.

  • K-패스는 최대 60회까지 지급
  • 지하철, 민자철도(신분당선), 광역버스, 시내버스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 수단에 적용
  • 전국단위 적용

 

K-패스 신청방법

 

K-패스 신청방법은 기존 알뜰카드 이용과 신규 K-패스 가입방법이 있습니다.

 

1)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신청방법:

  • K-패스 회원전환을 하여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교통카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하여 이용 약관 및 회원 전환 동의 후 이용가능합니다.
    ** 2월경 자세한 내용이 발표될 예정

 

 

2) 신규 교통카드 이용방법: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원하는 교통카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급방법: 

  • K-패스 인터넷 홈페이지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11개 카드사 홈페이지

 

K-패스 할인율

 

 

기존에 사용되던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800m)에 비례하여 대중교통비용의 할인율이 적용되었는데 K-패스는 15회 이상만 이용하면 아래 표와 같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적립율 예시
(1,500원 기준)
월 최대 환급/적립액
(60회 기준)
일   반 20% 300원 18,000원
청   년 (만 19세~34세) 30% 450원 27,000원
저소득(기초생활 수급자) 53% 800원 48,000원

 

  • 월 이용 횟수: 월 15회 이상 이용 시 환급 대상
  • 이용 금액: 월 이용 금액에 따라 환급률이 차등 적용

 

K-패스 적용지역

 

 

K-패스는 전국 단위로 적용된다. 전국의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 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의 기대효과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일반 서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첫째, 교통비 부담 경감입니다.
    K-패스를 이용하면 월 이용 금액에 따라 20~53%의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7만 원을 대중교통 이용에 지출하는 일반인은 K-패스를 이용하면 최대 3만 7천 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월 생활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교통비 부담을 크게 경감시켜 줄 수 있습니다.
  • 둘째, 생활 여건 개선입니다.
    교통비 부담이 경감되면 일반 서민들의 생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교통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만큼, K-패스 혜택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셋째, 친환경 교통 체계 구축에 기여합니다.
    K-패스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률이 증가하면, 이는 곧 자동차 이용 감소로 이어집니다. 이는 대기오염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기여하고, 친환경 교통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처럼 K-패스는 일반 서민들에게 교통비 부담 경감, 생활 여건 개선, 친환경 교통 체계 구축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